CodingMaker

파이썬 코드 해석 및 결과값 본문

Python

파이썬 코드 해석 및 결과값

메이커K 2024. 12. 26. 14:31

소스코드 사이트: https://colorscripter.com

 

🟦 1. 자바 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String[] sM = new String[3];
 
void func(String[] sM, int size){
  for(int i = 1; i < size; i++){
    if(sM[i - 1].equals(sM[i])){
      System.out.print("O");
    } else {
      System.out.print("N");
    }
    for (String m : sM){
      System.out.print(m);
    }
  }
}
 
void main(){
  sM[0= "A";
  sM[1= "A";
  sM[2= new String("A");
 
  func(sM, 3);
}

    최종 출력: OOAAA

 

🟦 2. 파이썬 코드

1
2
3
4
5
6
7
def func(lst):
    for i in range(len(lst) // 2):
        lst[i], lst[-i-1= lst[-i-1], lst[i]
 
lst = [123456]
func(lst)
print(sum(lst[::2]) - sum(lst[1::2]))
    1. 초기 리스트:
    2. python
      lst = [1, 2, 3, 4, 5, 6]
    3. func(lst) 함수 실행:
      • func 함수는 리스트의 앞과 뒤를 교환합니다. len(lst) // 2는 3이므로 i = 0, 1, 2로 반복합니다.
      교환 과정:
      • i = 0: lst[0]과 lst[-1]을 교환 → lst[0] = 1과 lst[5] = 6 → 결과: [6, 2, 3, 4, 5, 1]
      • i = 1: lst[1]과 lst[-2]을 교환 → lst[1] = 2와 lst[4] = 5 → 결과: [6, 5, 3, 4, 2, 1]
      • i = 2: lst[2]과 lst[-3]을 교환 → lst[2] = 3과 lst[3] = 4 → 결과: [6, 5, 4, 3, 2, 1]
      최종 리스트는 [6, 5, 4, 3, 2, 1]입니다.
    4. sum(lst[::2]) - sum(lst[1::2]) 계산:
      • lst[::2]는 인덱스 0, 2, 4에 있는 값을 선택합니다. 즉, [6, 4, 2]입니다.
        • 이들의 합: 6 + 4 + 2 = 12
      • lst[1::2]는 인덱스 1, 3, 5에 있는 값을 선택합니다. 즉, [5, 3, 1]입니다.
        • 이들의 합: 5 + 3 + 1 = 9
      • 따라서, sum(lst[::2]) - sum(lst[1::2])는 12 - 9 = 3입니다.

    최종 출력: 3

 

🟦 3. SQL 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select count(*
from employees e 
join projects p ON e.dept_id = p.dept_id 
where p.name in (
    select name 
    from projects 
    where p.dept_id in (
        select dept_id 
        from projects 
        group by dept_id 
        having count(*< 2
    )
)

employees 테이블:

idfirst_namelast_namedept_id

1 John Doe 100
2 Jim Carry 200
3 Rachel Redmond 100

projects 테이블:

namedept_id

Alpha 10
Beta 20
Charlie 30

1. 첫 번째 서브쿼리:

sql
코드 복사
select dept_id from projects group by dept_id having count(*) < 2

이 부분에서는 projects 테이블에서 각 부서별로 프로젝트 수를 그룹화한 뒤, 각 부서에 속한 프로젝트가 1개 미만인 부서를 찾고 있습니다.

  • 부서 10 (Alpha): 프로젝트 개수 1개 → 조건에 맞음
  • 부서 20 (Beta): 프로젝트 개수 1개 → 조건에 맞음
  • 부서 30 (Charlie): 프로젝트 개수 1개 → 조건에 맞음

따라서, 이 서브쿼리는 dept_id = 10, 20, 30을 반환합니다.

2. 두 번째 서브쿼리:

sql
코드 복사
select name from projects where p.dept_id in (...)

위에서 구한 부서(dept_id가 10, 20, 30인 부서들)에 해당하는 프로젝트들의 이름을 가져옵니다. 결과적으로, 부서 10, 20, 30에 해당하는 프로젝트들은:

  • 부서 10: Alpha
  • 부서 20: Beta
  • 부서 30: Charlie

따라서, 이 서브쿼리는 ('Alpha', 'Beta', 'Charlie')라는 프로젝트 이름을 반환합니다.

3. 메인 쿼리:

sql
코드 복사
select count(*) from employees e join projects p ON e.dept_id = p.dept_id where p.name in ('Alpha', 'Beta', 'Charlie')

이 부분에서는 employees 테이블과 projects 테이블을 dept_id로 조인한 후, p.name이 ('Alpha', 'Beta', 'Charlie')인 경우를 찾고 있습니다.

  • 부서 10에 속한 직원은 John과 Rachel입니다.
  • 부서 20에 속한 직원은 Jim입니다.
  • 부서 30에 속한 직원은 없습니다.

따라서, 부서 10과 20에서 각각 John, Rachel, Jim이 해당하지만, 쿼리 조건에서 p.name in ('Alpha', 'Beta', 'Charlie') 에 해당하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부서에서 직원이 1명만 조건에 맞습니다.

결론:

쿼리에서 **count(*)**가 1인 이유는 부서 10과 20에서 두 명의 직원이 있지만, 부서 10과 부서 20 모두 하나의 프로젝트만 해당하고 조건에 맞는 직원 수가 1명만 해당된다는 점입니다.

   최종 출력: 1

 

🟦 4. 페이지 교체 알고리즘: LRU (Least Recently Used)

 

🟦 5. 스머핑: IP나 ICMP의 특성을 악용 엄청난 양의 데이터를 한 사이트에 집중적으로 보냄으로써 네트워크를 불능 상태로 만드는 공격 방법.

 

🟦 6. 행위패턴: 작업 수행을 위해 상호작용

  • Iterator
    • 내부구조 노출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접근
    • 반복 프로세스를 캡슐화
  • Mediator
    • 객체간 상호작용 캡슐화
    • 중재자역할
    • 결합도 감소
  • Visitor
    • 객체의 구조와 처리 기능을 분리
    • 캡슐화에 위배됨
    • 객체 내부 상태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객체에 연산 추가할 수 있게 함
    • 기존코드 변경없이 새로운 기능 추가
  • Observer
    • 한 객체에 상태변화 생기면 의존하는 다른 객체들에게 알려주고, 자동으로 내용이 갱신됨
    • 일대다 의존성 패턴
    • 모니터링
  • Strategy
    • 다양한 알고리즘을 캡슐화
    • 알고리즘 교환해서 사용가능하게 한 패턴
  • Command
    • 요청을 캡슐화

🟦 7. C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int increase() {
    static int x = 0
    x += 2
    return x;
}
 
int main() {
    int x = 1
    int sum = 0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4; i++) {
        x++
        sum += increase();
    } 
    printf("%d", sum);
}

 

코드 분석:

    1. increase() 함수:
      • 이 함수는 static 변수 x를 사용합니다.
      • static 변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값이 유지되며,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초기화되지 않습니다.
      • 처음 호출 시 x는 0에서 시작하며, 호출될 때마다 x에 2가 더해지고 반환됩니다.
    2. main() 함수:
      • 지역 변수 x와 sum이 초기화됩니다.
        • x = 1
        • sum = 0
      • for 루프는 4번 반복됩니다.
        • 매 반복마다 x++가 실행되지만, 이 x는 지역 변수이므로 increase() 함수의 x와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.
        • sum은 increase() 함수의 반환 값을 누적합니다.
    3. for 루프 내부:
      • increase()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static x의 값이 증가합니다.
      • 호출 순서대로 반환되는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:
        • 첫 번째 호출: static x = 0 + 2 = 2 (반환값 2)
        • 두 번째 호출: static x = 2 + 2 = 4 (반환값 4)
        • 세 번째 호출: static x = 4 + 2 = 6 (반환값 6)
        • 네 번째 호출: static x = 6 + 2 = 8 (반환값 8)
    4. sum 계산:
      • sum = 2 + 4 + 6 + 8 = 20
    5. 최종 출력:
      • printf("%d", sum);가 실행되어 20이 출력됩니다.

🟦 8. 개체무결성

 

🟦 9.

43125

 

🟦 10. 파이썬 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def func(value):
    if type(value) == type(100):  # value가 정수(int) 타입인지 확인
        return value + 1
    elif type(value) == type(""):  # value가 문자열(str) 타입인지 확인
        return len(value)
    else:
        return 20  # 그 외의 타입은 20 반환
 
 
= "100.0"  # 문자열
= 100      # 정수
= (100.0200.0)  # 튜플
 
print(func(a) + func(b) + func(c))

 

출력값: 45

 

🟦 11. 자바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public class Base {
    int x = 3;
 
    int getX() {
        return x * 2;  // 구체적인 값은 기억나지 않지만 중요하지 않음.
    }
}
 
public class Derivate extends Base {
    int x = 7;
 
    @Override
    int getX() {
        return x * 3;
    }
}
 
public class Main {
    public static void main(String[] args) {
        Base a = new Derivate();   // 업캐스팅된 객체
        Derivate b = new Derivate();
        System.out.print(a.getX() + a.x + b.getX() + b.x);
    }
}

1. 핵심 개념 정리:

  1. 필드와 메서드 호출 규칙:
    • 필드(x)는 참조 변수의 타입에 따라 접근합니다.
    • 메서드(getX)는 런타임 객체의 타입에 따라 호출됩니다 (다형성).
  2. 업캐스팅:
    • Base a = new Derivate();는 업캐스팅입니다.
    • a는 Base 타입 참조 변수로, a.x는 **Base 클래스의 x 필드(3)**를 참조합니다.
    • 그러나 a.getX()는 Derivate 클래스의 오버라이드된 메서드를 호출합니다.
  3. b는 Derivate 타입:
    • b.getX()는 Derivate 클래스의 오버라이드된 메서드를 호출합니다.
    • b.x는 Derivate 클래스의 필드(7)를 참조합니다.

2. 실행 흐름:

  1. a.getX() 호출:
    • a는 Base 타입이지만 실제 객체는 Derivate 타입입니다.
    • 따라서 Derivate 클래스의 getX() 메서드가 호출됩니다.
    • Derivate.getX()의 계산: x * 3에서 **x는 Derivate 클래스의 x 필드(7)**입니다. 
    • css
      코드 복사
      a.getX() = 7 * 3 = 21
  2. a.x 참조:
    • a의 타입은 Base이므로, Base 클래스의 x 필드 값(3)을 참조합니다.
      css
      코드 복사
      a.x = 3
  3. b.getX() 호출:
    • b는 Derivate 타입이므로 Derivate.getX() 메서드가 호출됩니다.
    • b.getX()의 계산: x * 3에서 **x는 Derivate 클래스의 x 필드(7)**입니다.
      css
      코드 복사
      b.getX() = 7 * 3 = 21
  4. b.x 참조:
    • b의 타입은 Derivate이므로, Derivate 클래스의 x 필드 값(7)을 참조합니다.
      css
      코드 복사
      b.x = 7

3. 최종 계산:

css
코드 복사
a.getX() + a.x + b.getX() + b.x = 21 + 3 + 21 + 7 = 52

 

출력값: 52

 

🟦 12. cpp 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struct Node {
    int value;
    Node* next;
};
 
void func(Node* node) {
    while (node != NULL && node->next != NULL) {
        int t = node->value;
        node->value = node->next->value;
        node->next->value = t;
        node = node->next->next;
    }
}
 
int main() {
    Node n1{1NULL};
    Node n2{2NULL};
    Node n3{3NULL};
    n1.next = &n3;
    n3.next = &n2;
    func(&n1);
 
    Node* current = &n1;
 
    while (current != NULL) {
        printf("%d", current->value);
        current = current->next;
    }
}

1. 데이터 구조의 초기 상태

링크드 리스트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:

rust
코드 복사
n1 -> n3 -> n2 -> NULL

각 노드의 값:

  • n1.value = 1
  • n3.value = 3
  • n2.value = 2

2. func 함수의 동작

func 함수는 리스트의 노드 값들을 짝수 위치와 홀수 위치끼리 교환합니다.
구체적으로:

  1. node와 node->next의 값을 교환합니다.
  2. node를 두 칸 앞으로 이동 (node = node->next->next).

과정 상세 분석:

  1. 첫 번째 반복:
    • node = n1, node->next = n3
    • 값 교환: 
    • arduino
      코드 복사
      t = n1.value; // t = 1 n1.value = n3.value; // n1.value = 3 n3.value = t; // n3.value = 1
    • 리스트 상태:
      scss
      코드 복사
      n1(3) -> n3(1) -> n2(2) -> NULL
    • node = n3->next = n2 (두 칸 앞으로 이동)
  2. 두 번째 반복:
    • node = n2, node->next = NULL
    • 루프 종료 (node->next == NULL 조건).

3. func 호출 이후의 리스트 상태

리스트는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:

scss
코드 복사
n1(3) -> n3(1) -> n2(2) -> NULL

 

4. main 함수의 출력

main 함수에서 current 포인터를 이용하여 리스트를 순회하면서 각 노드의 값을 출력합니다.

  • 첫 번째 노드: n1.value = 3
  • 두 번째 노드: n3.value = 1
  • 세 번째 노드: n2.value = 2

출력 순서: 3, 1, 2

 

🟦 13. 문장, 분기, 조건

화이트 박스 테스트의 유형

 

🟦 14. 연관, 일반화, 의존

일반화, 의존화 등 자동차 설명되있던거
1.
          차
         / | \
바퀴, 타이어, 엔진
2.
          
          / | \
버스, 승용차, 택시
3.
텔레비전 --> 리모컨
기존 객체가 변경되면 다른 객체도 변경된다.

 

🟦 15. 용어

1. 다른 테이블 릴레이션 참조 ① 외래키
2. 유일성과 최소성 만족 ② 후보키
3. 기본키말고 후보키 ③ 대체키
4. 유일성만 만족 ④ 슈퍼키

 

🟦 16. C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void func1(int** arr, int size) {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size; i++) {
        *(*arr + i) = (*(*arr + i) + i) % size;
    }
}
 
void func2(int* val, int* arr) {
    *val = arr[*val % 4];
}
 
int main() {
    int arr[] = {31415};
    int* p = arr;
    int** pp = &p;
    int num = 6;
 
    func1(pp, 5);
    func2(&num, arr);
 
    printf("%d", num);  
}

코드 분석:

1. func1(pp, 5) 호출:

func1 함수는 이중 포인터 int** arr와 배열의 크기 size를 매개변수로 받습니다.

  • 배열의 각 요소는 다음 수식으로 업데이트됩니다:
    c
    코드 복사
    *(*arr + i) = (*(*arr + i) + i) % size;
  • 여기서:
    • *arr는 p를 가리키고, p는 arr 배열의 시작 주소를 가리킵니다.
    • 따라서 *(*arr + i)는 배열 arr[i]를 가리킵니다.

초기 배열: arr = {3, 1, 4, 1, 5}
배열의 각 요소가 업데이트되는 과정을 살펴봅시다:

  • i = 0:배열: {3, 1, 4, 1, 5}
  • scss
    arr[0] = (arr[0] + 0) % 5 = (3 + 0) % 5 = 3
  • i = 1:배열: {3, 2, 4, 1, 5}
  • scss
    arr[1] = (arr[1] + 1) % 5 = (1 + 1) % 5 = 2
  • i = 2:배열: {3, 2, 1, 1, 5}
  • scss
    arr[2] = (arr[2] + 2) % 5 = (4 + 2) % 5 = 1
  • i = 3:배열: {3, 2, 1, 4, 5}
  • scss
    arr[3] = (arr[3] + 3) % 5 = (1 + 3) % 5 = 4
  • i = 4:배열: {3, 2, 1, 4, 4}
  • scss
    arr[4] = (arr[4] + 4) % 5 = (5 + 4) % 5 = 4

최종 배열 상태:
arr = {3, 2, 1, 4, 4}

 

2. func2(&num, arr) 호출:

func2 함수는 포인터 val과 배열 arr을 매개변수로 받습니다.

  • *val = arr[*val % 4];
    • *val은 num을 가리킵니다.
    • 초기 num = 6.
    • 6 % 4 = 2, 따라서 arr[2]가 사용됩니다.
    • arr[2] = 1.

결과: num = 1

 

3. printf("%d", num) 출력:  1

 

🟦 17. VPN(Virtual Private Network): 이용자가 인터넷과 같은 공중망에 사설망을 구축하여 마치 전용망을 사용하는 효과를 가지는 보안 솔루션

"""IPsec ()"", ""SSL ()""로 쓰이며 가상에 대한 키워드, 사설망과 공용망?

 

🟦 18. 자바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public class ExceptionHandling {
    public static void main(String[] args) {
        int sum = 0;
        try {
            func();
        } catch (NullPointerException e) {
            sum = sum + 1;  // NullPointerException 발생 시 실행
        } catch (Exception e) {
            sum = sum + 10// 일반 Exception 발생 시 실행
        } finally {
            sum = sum + 100// 항상 실행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System.out.print(sum);
    }
 
    static void func() throws Exception {
        throw new NullPointerException(); // NullPointerException 발생
    }
}

 

코드 실행 흐름:

  1. main() 메서드:
    • sum 변수를 0으로 초기화합니다.
    • try 블록 내에서 func() 메서드를 호출합니다.
  2. func() 메서드:
    • 이 메서드는 throws Exception으로 선언되어 있어 Exception 계열의 예외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.
    • func() 메서드 호출 시 throw new NullPointerException()이 실행됩니다.
  3. 예외 처리 블록:
    • try 블록에서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합니다.
    • 첫 번째 catch (NullPointerException e) 블록이 실행됩니다.
      • sum은 0 + 1 = 1이 됩니다.
    • 두 번째 catch (Exception e) 블록은 실행되지 않습니다. (NullPointerException은 첫 번째 catch에서 처리되었기 때문입니다.)
  4. finally 블록:
    • 예외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실행됩니다.
    • sum에 100이 추가됩니다.
      • sum은 1 + 100 = 101이 됩니다.

출력: 최종적으로 System.out.print(sum);이 실행되어 101이 출력

 

🟦 19. 자바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class Main {
    public static void main(String[] args) {
        new Collection<>(0).print();
    }
 
    public static class Collection<T> {
        T value;
 
        public Collection(T t) {
            value = t;
        }
 
        public void print() {
            new Printer().print(value);
        }
 
        class Printer {
            void print(Integer a)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System.out.print("A" + a);
            }
 
            void print(Object a)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System.out.print("B" + a);
            }
 
            void print(Number a)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System.out.print("C" + a);
    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}
    }
}

 

코드 분석:

  1. main 메서드:
    • Collection 클래스의 객체가 생성됩니다: new Collection<>(0).
      • T는 제네릭 타입으로 지정되며, 여기서는 Integer 타입으로 유추됩니다(0이 Integer로 자동 박싱됨).
    • print() 메서드가 호출됩니다.
  2. Collection 클래스:
    • value라는 필드에 생성자로 전달된 값 0이 저장됩니다.
    • print() 메서드에서는 Printer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고, 해당 인스턴스의 print(value) 메서드를 호출합니다.
  3. Printer 클래스의 print 메서드들:
    • Printer 클래스는 Integer, Object, Number 타입에 대해 각각 오버로드된 print 메서드를 제공합니다.
    • 호출 시 어떤 메서드가 실행될지는 컴파일 타임에 메서드 선택이 결정됩니다.
    • value는 **제네릭 타입 T**로 선언되었고, 이 타입은 런타임 시에는 Object로 간주됩니다(타입 소거: Type Erasure).
  4. 메서드 호출 결정:
    • value의 컴파일 타임 타입은 T로 선언되어 있습니다. 하지만 런타임 타입은 Integer입니다.
    • 컴파일러는 value의 컴파일 타임 타입(즉, Object)만을 참고하여 적합한 메서드를 선택합니다.

따라서 Printer 클래스의 void print(Object a) 메서드가 호출됩니다.

 

출력: Printer의 print(Object a) 메서드가 실행되므로 출력값은: B0

Java에서는 제네릭 타입 소거(Type Erasure)로 인해 런타임 시에는 타입 정보가 손실되므로, 메서드 오버로딩 시 컴파일 타임 타입이 중요합니다.

 

🟦 20. 애드 혹 네트워크 (Ad-hoc Network)
재난 현장과 같이 별도의 고정된 유선망을 구축할 수 없는 장소에서 모바일 호스트(Mobile Host)만을 이용하여 구성한 네트워크이다.
망을 구성한 후 단기간 사용되는 경우나 유선망을 구성하기 어려운 경우에 적합하다.

 

네트워크는 노드(Node)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기반 구조가 없는 네트워크로 긴급 구조, 긴급회의, 전쟁터에서의 군사 네트워크로 활용됨